제 1장 캐러화하는 젊은이들 (3)

Image from Amazon


캐러는 어떠한 기능을 가지는가

 

, 이러한 현실이 있다고 해서 캐러 문화야말로 왕따의 온상이다라 결론짓는 건 너무 순진한 처사다. 애초에 어떤 이점도 없는 문화가 이정도로 넓게 수용되리라 생각하기 힘들다. 캐러 문화의 이점에 대해서는 추후 논하겠지만, 우선은 결점을 검토해 보도록 하자. 역시 그 중 가장 큰 결점은 캐러 문화가 왕따 관계로 이어지기 쉬운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나이토 아사오는 왕따의 사회 이론’(카시와쇼보柏書房에서 왕따가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중간 집단 전체주의라 명명한다. 이 중간 집단 전체주의는 여러 동조 압력의 온상이며 왕따 역시 그에서 생겨난다.

캐러의 분담을 결정짓는 것 역시 이러한 교실이나 친밀한 집단이란 이름의 중간 집단 내부의 역학이다. ‘노부타를 프로듀스리는 메보다 100배 무섭다에서 그려진 건 이러한 집단 역동 법칙을 역이용하여 통제 하에 두려는 시도이다. 많은 중간집단에서 이런 캐러 분담의 역학이 작동하고 있다. 이 역학은 캐러의 다양성보단 정형화를 야기한다. 그 결과 구성원 중 누군가가 정형화된 캐러 중 하나인 왕따 캐러동네북 캐러를 분담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캐러의 공존에 기반한 스쿨 카스트에는 교실 공간을 안정시키는 기능이 있다. 문제는 카스트 자체의 안정으로 목적이 전도되어 캐러 분담이 반강제적으로 이루어지고 만다는 점이다.

이때 캐러 분담을 야기하는 집단 역학 자체의 내부에 따돌림이 일찌감치 싹튼다. 이런 관점에서 캐러의 분화왕따의 사이에는 극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캐러화의 장점에 대해 생각해보자. 가장 큰 장점은 소통의 원활화이다. 상대의 캐러를 알면 의사소통 패턴도 자동으로 정착된다. ‘캐러라는 코드의 편리한 점은 본 성격이 복잡하든 단순하든 캐러라는 틀에 똑같이 대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누마 후미아키에 따르면, 타인의 캐러는 수다스럽게 이야기하는 고등학생에게 본인의 캐러를 물어보니 의외로 잘 모르겠다고 대답했다고 한다.(캐러론 단 이 대답은 도저히 가늠조차 못하겠다는 의미는 아닐 터이다. 만약 정말로 자신의 캐러를 이해하지 못하면 캐러가 겹치는 것’ ‘캐릭터를 비집고 나오는 것을 지양하는 데 관심을 두는 것도 불가능할 테니 말이다.

아마 그들의 잘 모르겠다아이들에게 어떤 캐러로 인식되고 있는지는 알지만 그게 내 성격이라 한들 와 닿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닐까. 이런 의미에서 캐러의 자기인식은 이른바 성 정체성 인식과는 별개로 자아친화성이 낮다. 글 서두에 언급한 학생 사례들의 캐러를 연기하기 지쳤다는 현상의 원인도 상기 맥락에서 기인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캐러는 자발적으로 연기하기보단 아이들의 소통 공간에서 자기인식당하고’, 연기당하는것이라 하겠다. 설령 이게 나 자신이라는 실감이 동반되지 않더라도 일단 캐러의 자기인식이 성립되면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해방된다. ‘캐러를 연기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는 자각은 캐러의 배후에 있(다고 상정되)진정한 자신의 존재를 믿게 하고, 그것을 보호해주기까지 할 것이다.

연기하는 것에 지나지 않은 캐러가 손상을 입어봤자 고작 거짓된 가면일 뿐이니 진정한 자신과는 상관없다며 딱 잘라 결론지을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아무도 인생에서 피해갈 수 없는 어떤 역할을 연기하는행위의 예행연습도 될 수 있다.

또한 서로의 캐러를 재귀적으로 인식하는 행위만으로 친밀한 소통을 영위하는 기분이 들게 해준다는 것이 캐러 개념의 좋은 점이다.

한때 나는 휴대폰 메일서비스를 통한 소통을 정보량이 적다는 의미에서 털끝만하다고 비유한 적 있다. 소통의 양상이 의미 있는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에서 상호간 캐러의 윤곽을 확인하는 듯한 선문답으로 변질되어가는 것을 지적한 것이다. 이렇게 장황해빠진 소통의 정보량은 한없이 0에 수렴한다. 친밀함을 확인하는 데는 새로운 정보의 양이 적은 게 좋을 테니 말이다.

그렇다면 캐러는 모종의 소통 요소가 응집된 유사인격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해리성동일성장애(다중인격장애)의 인격 교대를 떠올리면 이해가 쉬워질 것이다. 해리성동일성장애 질환자는 (병인지 고의인지는 둘째 치고) 응석부리고 싶을 땐 유아교대 인격을, 공격성을 발휘하고 싶을 때는 난폭한 사람의 교대 인격을 드러낸다. 각각의 교대 인격은 틀에 박히고 깊이가 없는데다 성찰 능력도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대 인격은 본래 인격에 준하는 가상의 존재라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속성은 캐러에도 전부 들어맞는다.

상기 내용에서 미루어 나는 오늘날의 교실 공간이 일종의 다중인격 공간으로 구성된 게 아닌가 하는 가설을 제시하는 바이다. 캐러의 중복이나 이탈이 용납되지 않는 건 그 생태계가 만들어낸 미묘한 균형이 깨져 혼란에 빠지는 것을 막으려는 의지가 아닐까.

 

캐러의 재귀성은 무엇을 야기하는가

 

방금 지적한 캐러의 재귀성은 캐러라는 개념의 본질과 관련되었을 뿐 아니라, 일종의 피드백 회로를 통해 젊은이들의 정신 그 자체에 깊이 영향을 끼치는 듯하다. 그러한 면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사례가 최근 수년간 연이어 발생한 묻지마 살인 사건이다. 특히 2008년은 묻지마 살인 사건이 연이어 일어난 해로 기억한다. 그해 3월에는 츠치우라 시와 오카야마 시에서, 6월에는 아키하바라에서, 7월에는 하치오지 시에서 똑같은 범죄가 되풀이되었기 때문이다.

사건의 용의자를 옹호하려는 의도는 털끝만큼도 없다. 하지만 그 배경에 자리한 요소들의 검토를 통해 ‘00년대마음을 보게 된다. 당시 아키하바라 사건에 대한 인식은 ‘‘파견 근무로 대표되는 젊은이들의 불안정한 근무 형태에 문제가 있다였는데, 이 사건을 계기로 파견노동 제도의 재검토가 이어졌다는 점을 봐도 이는 명백한 사실이다. (다른 이야기지만 당사자의 목소리보다 사건 하나를 계기로 정책에 손을 대는 정부의 구태의연함은 질려버릴 지경이다.) 그러나 그러한 사회적 배경만으로는 그들의 어긋난 자기애는 이해할 수 없다. 당시 보도에 따르면 그들은 일종의 패배자 의식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패배의 각인이 그들의 운명이며 노력이나 기회로는 바뀔리가 없다고 확신하고 있는 듯 보였다. 자칫 자기혐오로 비칠 정도의 부정적인 의식이다. 하지만 오히려 그 정도로 확신하는 모습을 볼 때 자기부정적 자기애라 함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엇나간 자의식을 단순히 격차사회나 신자유주의의 산물로 간주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오히려 이러한 의식의 배경에 있는 건 방금 전까지 지적한 소통 편중주의캐러 문화가 아닐까.

무슨 말인가 하니 다음과 같다. 묻지마 살인 사건의 용의자들의 공통점은 비행 경험이나 불량 써클에 소속된 경험이 없으며’, 따라서 오히려 학교나 사회에서 소통 약자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현대에는 빈곤이나 장애 이상으로 소통 능력의 부재를 불행한 것으로 취급한다. 다시 말해 개인의 불행의 양상은 다양하지만 그 원인이 곧잘 소통의 문제로 비약된다는 뜻이다.

가령 아키하바라 사건의 용의자 카토는 자신의 인터넷 게시판에 못생겼으면 연애할 권리가 없다는 문장을 빈번하게 써 왔다. ‘못생겼다’, ‘인기가 없다는 말에는 결정적으로 자신이 소통 약자이며 그건 어쩔 도리가 없다는 체념마저 담겨 있다.

 

(참고로 카토는 2010년에 시작한 공판에서 게시판에서는 인기 없는캐릭터를 연기했다” “사실은 친구도 많았다는 등 매스컴을 통해 비친 이미지와는 상이한 증언을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일련의 증언에서 나는 강한 편향성을 느꼈다. 자신의 범행 동기에 사회적 배경이 반영되었다는 것을 되도록 회피하려는 듯 보였다는 말이다. 자신의 죄를 자각하면서도 그 원인을 양육 환경이나 사회적 억압에서 찾는 것만은 하지 않으려는 강한 결의가 그에게 있는 게 아닐까.)

 

익명성과 캐러

 

일련의 묻지마 살인 사건의 또 다른 공통적인 특징은 익명성이다. 어느 경우든 용의자들은 도장으로 찍어낸 듯 똑같이 누구라도 상관없었다.” 고 말했다. 마치 인터넷에서 천편일률적인 양식의 문구(엉망진창으로 만들어 줬다. 상대는 누구라도 상관없었다. 지금은 반성하고 있다.)를 읊듯 말이다. 살인의 동기조차 어딘가에서 빌려서 말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한때 젊은이들의 흉악 범죄는 90년대의 사카키바라酒鬼薔薇 사건[각주:1]처럼 용의자의 자기표현과 더불어 존재를 증명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당시의 특이한 범행성명문에서도 그를 명백히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련의 묻지마 살인 사건에는 그러한 표현 충동조차 한없이 희박하다. 나는 누구라도 상관없었다는 말이 도무지 피해자만을 지칭하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누구라도 상관없던건 오히려 그들 자신이 아니었을까. 그렇다. 적어도 내게는 “(이런 짓을 하는 건)내가 아닌 다른 누구라도 상관없었다는 중얼거림이 확실하게 들렸다.

일종의 자폭 테러의 성향을 띤다는 게 그들이 저지른 범행의 공통점이다. 그들은 상당히 치밀한 범행 계획을 세웠으면서도 범행 후 도주 경로는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 마치 진작 체포되어 극형에 처해질 것을 바란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자포자기식이었다. 거기다가 그 정도의 위험을 무릅쓰는 와중에 그들은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을지도 모른다며 절망하고 있지 않았는가.

지금 시대에는 범죄란 작금의 불완전한 사회 시스템이 일정 확률로 내포하는 위험 내지 버그로서 발생하며 그때마다 법과 제도에 의거하여 엄숙히 처리(디버그)된다. 그들 역시 그러한 버그들 중 하나에 불과하며, 운명이나 필연성과는 관계없는 순수한 확률의 문제이다. 확률의 문제인 이상 그들은 얼마든지 교체될 수 있는 존재, 익명의 존재를 면할 수 없다.

자신이 확률에 의거해 치부를 당한 익명의 존재라는 자의식. 이건 꼭 패배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윗세대들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어쨌든 한 발짝 내딛어 보자, “해보지 않으면 아무것도 모르지 않느냐. 젊은이들을 대신해서 내가 대답하자면,

그야말로 정론이고 지당하신 말씀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런 말씀조차 예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해보면 잘 풀릴지도 모른다. 방법의 힌트도 길가의 차이는 돌멩이만큼 인터넷에 얼마든지 굴러다니고 있다. 남은 건 할 의욕뿐이다.‘ 우리들 역시 몇 백 번을 스스로에게 되뇌었는지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인지하고 말았다. 이기는 것도 지는 것도 결국 확률의 문제에 불과하다는 것을. ’그러면 이길 확률에 걸어 보라? 뭘 모르신다. 만사가 확률의 문제인 이상 이기든 지든 영원히 안심할 순 없다고? 아무리 성공한들 나는 익명인 채 의연하게 확률의 문제로 치부될 테니까.”

 

사람에게는 아마도 행복의 재능이라는 게 있다. 우연히 성공한 체험을 두고 이것은 필연적인 운명이었다고 자신에게 납득시키는 재능의 이야기다. 필연성을 향한 그러한 신앙은 자신을 교체할 수 없는 고유한 존재라 간주할 확신을 기반으로 한다. 그것을 신앙이라 한 데는 이유가 있다. 우선 거기에는 아무 근거가 없다. 그리고 많은 젊은이들이 그 신앙을 버리고 있다.

필연성이나 고유성의 이름으로 익명성을 회피할 수 없다면, 이제 도망칠 길은 없는 걸까. 이 시점에서 요청되는 게 캐러이다. 사실 자신을 교체할 수 없다는 고유성은 추궁해보면 딱히 근거는 없다. 기술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가령 정신분석에서는 그렇게 근거 없는점이야말로 인간 주체를 지탱한다고 본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부정신학否定神學이다. 추후 언급할 이토 고[각주:2]의 지적으로 유명해진 캐릭터キャラクター와 캐러キャラ의 구별에 관해 말하자면 캐릭터는 이러한 고유성을 어딘가에 내재하고 있다. 그러나 캐러에는 문자 그대로의 고유성은 빈약하다. 라캉의 정신분석을 부정신학으로써 비판한 아즈마 히로키가 확률론에서 캐릭터의 이론화로 나아간 것은 필연적인 흐름이다.

그러나 이 확률적인 세계에서는 그러한 고유성을 믿는 건 불가능하다. 모든 것이 우연이라는 신앙은 이 하나뿐인 세계의 단 하나뿐인 자신이라는 필연성을 향한 신앙을 토대부터 헤집어버린다. 그렇다. 요컨대 이 두 개의 신앙은 칸트 이래 우연과 필연의 안티노미의 문제로 귀결한다. 즉 어느 쪽에도 근거는 없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어쩌다 현대에 와서 제반 사정에 따라 모든 것은 우연의 세력이 우세가 되었을 뿐이다. ‘모든 것은 우연교의 세계관에 따라 개인은 교체 가능한 존재로 익명화됨과 동시에 또 하나의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다. 그것은 세계의 복수複數이다. 같은 말이지만 세계의 다중多重라 해도 무방하다. 이 두 가지 변화는 표리일체의 관계이다. 개인의 익명화가 세계의 복수화를 요청하고 세계의 복수화는 개인의 익명화를 필연적으로 동반한다.

여러분은 커다란 성공 체험을 겪은 순간 이런 감정을 느낀 적은 없으신가. ‘이야, 이번에는 어쩌다가 잘 풀렸어. 하지만 다음 생에도 똑같이 성공할 수 있을까하고 말이다. 고백하자면 실은 나는 자주 그런 감정이 밀어닥친다. 그렇다. 바로 이 순간이다. ‘나의 세계가 복수화되고 가 익명화되는 순간. 만약 마음속으로 인생은 한 번뿐이라 믿고 있다면 성공 체험을 오롯이 맛보며 내일부터의 자신에게 이어줄 수 있을 텐데 말이다.

서론이 길어졌다만 이 모든 것은 우연교와 캐러는 꽤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익명으로 치부된 개인의 마음에 고유성과는 별개의 방식으로 하나의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것이 캐러이다. 기술할 수 없는 고유성과는 달리 캐러는 기술할 수 있다. 오히려 캐러야말로 늘 기술되지 않으면 존속할 수 없는 존재이다.

또한, 뒤에서 자세히 다루겠지만 캐러의 또 하나의 특징은 복수의 세계 어디에 있어도 그 캐러의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여기서 곧장 도라에몽의 타임슬립물을 떠올린 당신은 제대로 짚었다). 방금 전 밝힌 나의 개인적 감상에 근거하여 말하자면 다음 생에도캐러는 변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러는 중에 캐러를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로 소통의 힘이다. ‘대신할 수 없는 세계에서 단 하나뿐인 자신에 상응하는 신앙을 잃은 개인이 마음의 안정을 캐러에 의탁하려 하면 캐러의 기술記述=상호확인을 가능케 하는 재귀적 소통을 향해 반복해서 몸을 던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그 외의 수단은 없다. 단지 소통만이 자신의 캐러=재귀적 동일성을 유지시켜줄 뿐이다.

그것은 우연성과 익명성이라는 이른바 유동성의 극한까지 자신을 노출시키며 간신히 자의식의 동일성과 연속성을 이어붙이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다. 그런 의미에서 캐러의 획득은 임시대피소로서 순간의 안심을 부여하긴 한다. 그러나 그 대가도 결코 작은 것은 아니다.

대가란 무엇인가, 우선 첫째로, 캐러화는 성장과 성숙을 저해한다. 어떤 캐러든 그 기술이 늘 소통에 동반하는 이상 캐러로부터의 이탈은 대부분 본능적으로기피된다. 그래서 한번 캐러가 확정되어버리면 거기서 하차하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언젠가 완벽한 소통은 성장을 저해한다고 쓴 적이 있다.(문학의 단층, 아사히신문 출판) 완벽한, 즉 오해나 잡음이 섞이지 않은 소통은 완벽한 상호이해를 야기함과 동시에 그렇게 이해되고 만 자신’=캐러의 강한 고착 역시 동반하지 않을 수 없다. 바로 이 고착이야말로 개인의 변화와 성장을 가로막는 원흉이다.

아까 언급한 자기부정의 자기애 역시 아마도 여기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모종의 소통을 통해 부정적인 자기 이미지(음지 캐러, 인기 없는 캐러 등)에 고착된 개인은 부정적인 자기 이미지의 현실성(당위성)을 재확인하는 것으로밖에 자기애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주변으로부터 부정적인 캐러로 상정되었음에도 그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연기하는 듯 보이는 개인이 적지 않은 데는 그런 이유가 있다. 의도치 않은 캐러를 맡는 것은 고통스럽다. 그러나 그런 캐러라도 한번 잃어버리면 거창한 표현으로 이 세계에 자신이 있을 곳은 없어진다. 그것은 원치 않는 캐러를 굳이 맡는 것보다 아득히 두려운 사태이다.

이때 자해나 자기부정을 비롯한 자기 자신과의 소통 역시 마치 캐러를 확인하는 재귀성을 야기한다. 카토가 작성한 자문자답의 행태를 떠올려보자. 정신과의사로서는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는데 일단 이러한 자해적인 캐러 설정이 성립되고 나서는 긍정적인 자기애를 살려 회복시킬 수 있을지 확고한 답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이 문제는 안전이나 자유의 적당한 충족과 맞바꾸어, 끊임없이 사람들이 익명화를 향하는 것 말곤 선택의 여지가 없는 현대 추세에 저항하도록 굳이 고유성을 옹호하는 지극히 어려운 문제임이 틀림없다. 다르게 말하면 사회공학적 의 추세(자연과학적이라고는 말할 수 없겠다)에 대응하여 얼마나 인문적 의 입지를 확보해야 하는지의 이야기이기도 하며, 그렇다고 하면 눈앞의 상황은 절망적이라고까지 할 수 있다. 이 질문에 대해 적어도 이론적으로 명쾌한 답은 보이지 않는다. 자기애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재귀적 소통을 통해 유지되는 자기동일성이라는 사실이 이미 성립되었다면 그 자체를 두고 옳고 그름을 따지기는 어렵다. 문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동급의 이점도 상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여기서 내가 언급해 둔 자기동일성이라는 말을 주의했으면 한다. 사람들 입에 수없이 오르내리는 이 개념은 전적으로 명백하지 않다. ‘자신이 곧 자신이라는 개념의 근거는 놀라우리만큼 덧없다.’ 그것은 자신이 얼마나 해체하기 쉬운 존재인지 하는 임상적 사실로부터도 접근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그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


해당 번역문에 대한 모든 권리는 출판원 ちくま文庫와 저자 斉藤環에게 있습니다

  1. 정식 명칭은 고베 아동 연속 살상 사건神戸児童連続殺傷事件. 1997년에 아즈마 신이치로가 저지른 살인 사건이다. 범인이 쓴 쪽지에 적힌 사카키바라 세이토酒鬼薔薇聖斗라는 이름에서 따와 사카키바라 사건으로도 불린다. [본문으로]
  2. 伊藤剛(1967~). 만화비평가. 주요 저서로는 『데즈카는 죽었다テヅカ・イズ・デッド』가 있다. [본문으로]

제 1장 캐러화하는 젊은이들 (2)

Image from Amazon


‘왕따’ 소설로 보는 캐릭터의 기원


원래라면 여기서 스쿨 카스트나 캐러의 사례를 들어야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필자의 재량으로 창작물 속에서 사례를 찾기로 한다. 과장이 포함된 표현이야말로 캐러의 기능이나 의미를 검증하기 쉽다는 생각에서 내린 선택이다. 단 여기서 거론하는 세 작품은 각각의 저자가 경험해 온 현실 교실 공간의 정치를 생생하게 반영했다고 생각하기에 일종의 다큐멘터리로서의 가치도 충분히 있다고 간주해도 될 것이다. (이하 인용 내용은 이야기의 중요한 부분들을 다루고 있다)

우선 약관 15세의 나이에 문예상을 수상하며 데뷔한 여고생 작가 미나미 나츠의 ‘헤이세이 머신건즈「平成マシンガンズ」(카와데쇼보신샤河出書房新社 출판) 이다. 이 책에서는 ’캐러를 빠져나오려는(자신의 캐러가 요구받는 언동의 유형을 일탈하는)‘ 것의 공포가 반복하여 그려진다. 주인공 토모미는 언제부터인가 갑자기 친하게 지내던 그룹의 친구들에게 ’따‘ 당한다(무시당한다). 알리고 싶지 않던 가정사를 추궁 받아 평소 연기하던 ’수수한 아이‘ 캐러와는 다른 반응을 보여 버린 게 원인이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카스트가 엄연히 지배하는 교실 공간에선 자기에게 주어진 ’캐러‘를 철저하게 지키지 않으면 안 된다. 지금까지의 ’왕따‘ 담론에서는 그다지 다뤄진 적 없는 부분이다. ’헤이세이 머신건즈‘ 의 첫머리 즈음에서 소개하고 있는 ’아이자와 군‘ 의 에피소드는 더욱 비참하다. 

줄곧 ‘동네북 캐러’ 였던 아이자와 군은 다른 학생들에게 비웃음을 당해도 저항하지 못하고 실실 웃고 다니는 남자아이였다. 그러나 그가 지은 하이쿠가 지역 문집에 입선해버리고, 그 사실이 알려지자 반의 분위기는 격변했다. 그렇다, 아이자와 군은 주제넘게도 ‘동네북 캐러’를 뛰어넘어버린 것이다. ‘벌’ 로써 반 전원에게 철저히 무시당한 아이자와 군은 등교 거부까지 하게 된다.

드라마로도 만들어진 시로이와 겐의 소설 ‘노부타를 프로듀스’ 는, ‘캐러를 어떻게 내세우는가’를 중심 테마로 하고 있다. 주인공 키리타니 슈지는 누구에게든 차갑게 거리를 두며, 스쿨 카스트 최상위 ‘인기인 캐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밤낮으로 노력을 아끼지 않는 고등학생이다. 키리타니는 언제부터인가 문득 전형적인 ‘왕따당하는 캐러’ 전학생 노부타(코타니 노부타)와 관계를 맺고 그를 인기인으로 끌어올리려 획책한다. 그의 의도는 들어맞았고 노부타는 일약 인기인이 되어 ‘따돌림당하는 캐러’에서 ‘짓궃게 괴롭힘당하며 사랑받는 캐러’로 승격한다. 그러나 얄궃게도 키리타니는 자신의 캐릭터 연출에 실패하여 부지런히 쌓아올린 위치에서 추락하게 된다.

현역 고등학생이 휴대폰으로 쓴 소설이라 화제가 된 코도 시이의 ‘리는 메보다 100배 무섭다’ 역시 ‘캐러’를 둘러산 이야기이다. 제목의 의미는 ‘괴롭힘いじり’은 ‘따돌림いじめ’보다 훨씬 비참하다는 의미로 보면 된다. ‘노부타를 프로듀스’ 와 발상은 정반대지만 그 점에 대해서는 지금은 잠시 제쳐두자.

중학교 시절, 줄곧 ‘괴롭힘 당하는 캐러’ 로서 고생해 온 ‘나’는 평화롭고 즐거운 고등학교 생활을 목표로 자신의 캐러를 짜내려 노력을 거듭한다. 그런 ‘나’의 일상은 수면 아래 끊이지 않는 관심과 전략의 연속이다. 자신과 상대방의 캐러를 인식하여 캐러끼리의 균형도 의식하며, 캐러가 겹치거나 자신의 캐러에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나’의 전략 중 하나는 자신이 ‘괴롭힘 당하는 캐릭터’ 가 되기 전에 다른 목표 대상을 내세워 밀어붙이는 것이었다. 고생한 보람이 있어 적당한 동급생 한 명을 ‘괴롭힘 당하는 캐러’ 로 몰아넣지만 결국 그 전략이 그의 명을 재촉하고 만다.

‘리는 메보다 100배 무섭다’ 가 흥미로운 이유는 고등학생 집단 내부의 캐러 균형이나 생성 양상을 지극히 현실적으로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픽션으로서의 과장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작품엔 발매 당시 아직 고등학생이던 작가의 생생한 일상 감각이 반영되어 있다. 적어도 나는 그렇게 느꼈다. 이상의 사례들로부터 우리는 스쿨 카스트와 캐러 생태계가 지극히 밀접하게 관련된 게 지금의 현실임을 알 수 있다.


캐러는 어떻게 침투했는가


다시 말하지만 소통 격차가 야기한 스쿨 카스트는 ‘캐러의 생태계’ 이기도 하다. 교실이란 폐쇄 공간 안에서 학생들은 여러 가지 캐러를 나누어 연기하길 강요받는다. ‘누군가’ 명령하는 게 아니고, 단지 ‘분위기’ 가 그리 시킬 뿐이다. 오기우에 치키는 학교 공간을 ‘끝없는 캐러 전쟁의 무대’ 로 간주한다. ‘비참한 왕따 아이’ 가 되지 않으려고 ‘재미있는 동네북 캐러’ 로 남기를 선택하면 ‘괴롭히는 캐러’ 보다 약자 위치에 놓인 채 기약 없는 동네북을 연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물론 ‘캐러 전쟁’에서 패배한 자가 ‘어두운 캐러’ ‘기분나쁜 캐러’ 와 같은 ‘동네북 캐러’ 가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오기우에 치키, ‘인터넷 따돌림’ 中) 이렇게 생성되어 온 여러 캐러의 공존은 어떤 종의 불문율을 토대로 정확히 행해진다. 예를 들자면 ‘캐러가 겹치는’(하나의 계층집단 내에 비슷한 캐러가 두 명 이상 있는 것) 일도 그렇다. ‘캐러를 비집고 나오는’ 등의 사태는 엄격히 기피된다. 만약 이를 위반해버리면 그것만으로도 새로운 따돌림을 유발할지도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그야말로 캐러는 생존 경쟁의 법칙과 다름없다.

학교라는 공간은 폐쇄적인 교실 내의 개인에게 캐러로 굴 것을 요구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각 캐러에 대해 독특한 방법으로 계층구조(지배구조)를 부여해간다. 학교 공간에 있는 이상 그 지배구조로부터는 벗어날 수 없어 보인다. 그곳에서 학생들은 ‘강한 캐러’ 와 ‘약한 캐러’로 강제적으로 분류된다. 캐러가 겹치거나 부정적인 캐러를 부여받은 경우 변경이나 교환을 하지 않으면 ’훈훈한 자리‘ 로 가기는 어렵다. 실패하면 ’동네북 캐러‘ 로 전락하고 만다. (’인터넷 따돌림‘ 中)

이러한 캐러화의 압력을 조장하는 것이 휴대폰을 필두로 한 ‘인터넷 문화’ 이다. 오기우에는 ‘초등학생의 약 3할, 중학생의 약 6할, 고등학생의 약 9할이 휴대폰을 소유하고 있다’ 고 제시한다. 그 중 대부분은 휴대폰 메일이나 사이트 열람기능을 이용한다. 거기다가 초등학생의 약 6할, 중고등학생의 약 7할이 컴퓨터로 인터넷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이 매체들은 현실의 인간관계가 덧씌워져 기능하는데 원래부터 친밀한 상대와는 빈번하게 메일을 주고받는 한편 교실 안의 따돌림 관계는 인터넷 상에서도 그대로 구현된다. 보통 인터넷 공간은 불특정 다수의 익명 상대와의 유동적인 관계성을 연상하기 쉽지만 휴대폰은 오히려 현실 인간관계를 반영한다. 이는 현실 소통의 문턱이 낮아지거나 다중화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인터넷이나 휴대폰을 필두로 한 소통 네트워크의 진화와 침투는 거의 혁명적인 변화였다. 그러한 인프라의 발전과 함께 사회 전체가 소통 편중주의로 침잠해 간 건 반쯤 필연적인 흐름이었다고도 말할 수 있겠다. 당연하게도 이러한 경험이 아이들의 사회에도 큰 영향을 끼친 것이다.

이러한 와중 소통의 양상도 변해갔다. 현대 소통 기술 중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속성은 다음과 같을 터이다. ‘메세지 내용의 짧고 가벼움’ ‘답문의 즉시성’ ‘빈번, 원활한 의사 교환’ ‘웃음요소’ ‘머리글자 조어 등 메타 메시지(상징・은유적 표현)의 사용빈도’ ‘캐러의 명확함’ 등. 그렇다면 과연 캐러와 소통은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 것일까.


--------------------------------


해당 번역문에 대한 모든 권리는 출판원 ちくま文庫와 저자 斉藤環에게 있습니다.

번역 - 일본어/기타 2018. 7. 4. 21:16

인간이야말로 최강의 인터페이스이다


ー오늘 잘 부탁드립니다. 저번 강연회와 로봇 연극, 재밌게 잘 봤습니다. 그리고 ‘일본 과학 미래관’에서 발표하신 안드로이드의 시연도 관람했습니다만, 마치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답하는 게 매우 경이로웠습니다. ‘안드로이드도 여기까지 이르렀나・・・’ 싶었습니다. 소박한 의문입니다만, 애초에 어째서 우리들은 인간형 로봇에 흥미를 가지게 된 걸까요?

이시구로 사토시(이하 이시구로) “‘사람은 사람을 인식하는 기능이 있다’ 는걸 아는 것이 일단 중요합니다. 아니, ‘사람의 형태를 한 대상이 더 인식하기 쉽다’ 고 해야겠군요. 오늘날의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은 인간에게 이상적인 인터페이스가 아닙니다. 가장 이상적인 인터페이스는 인간 그 자체입니다. 그래서 기술이 발전할수록 세상의 여러 가지 사물들이 인간처럼 변모한 겁니다. 그리고 그 ‘인간다워짐’ 의 절정에 다다른 것이 안드로이드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인터페이스는 인간 그 자체입니다.」 이 발언에 의문을 느끼는 사람도 많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실제로 현재 우리 생활에 관여하는 공업용 로봇이나 휴대전화는 사람의 형태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시구로 씨의 발언에서 설득력을 느꼈습니다. 사실은 이 발언을 뒷받침하는 ‘페그 인 홀peg-in-hole’ 실험이라는 게 있습니다. 인간이 봉을 구멍에 넣는 모습을 아이들에게 보였을 때와 똑같은 시퀀스를 기계가 하는 것을 보였을 때를 비교한 실험으로, 인간이 할 때는 아이들은 흉내 내지만 기계의 경우 흉내 내지 않는다는 귀결입니다. 즉 아이들은 흉내 내는 대상에 ‘인간다움’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이시구로 씨는 강연회에서도 인간형 쿠션 ‘허그비’ 나 인간형 휴대전화단말 ‘엘포이드’를 소개하며 “인간이 가장 인식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는 사람이다” 라 역설하였습니다. 그에게는 모든 사물들이 인간화되는 것이 필연적인 미래일까요?

우미네코자와 메론, <내일은 기계가 사람이 된다> 中

번역 - 일본어/기타 2018. 5. 22. 21:37

‘무리 없이 번역할 있는 사람’ 과 ‘좀처럼 번역하기 힘든 사람’

질문자 H : ‘번역가가 어울리는 사람과 어울리지 않는 사람이 있다’ 는 이야기 말입니다만, 작가의 관점에서 ‘무리 없이 번역할 있는 사람’ 과 ‘좀처럼 번역하기 힘든 사람’ 같은 경우도 있습니까?

무라카미 : 있지요.

질문자 H :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번역하기 힘듭니까? 작품을 읽으면서 ‘이 사람은 쉽게 할 수 있겠구나’ ‘힘들겠구나’를 알 수 있습니까?

무라카미 : “이건 내가 번역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소설과 “이건 정말 번역하기 싫다” 고 생각이 드는 소설은 확실히 있군요. 그건 그 소설이 ‘뛰어나다’ ‘뛰어나지 않다’ ‘취향이다’ ‘취향이 아니다’ 같은 문제가 아니라, “내가 맡을 수 있다” “맡지 못하겠다” 의 여부가 굉장히 크게 작용하지요. 상성의 문제도 있고요. “이건 훌륭한 소설이지만 나는 정말 번역하기 싫다” 든지 “번역할 수 없다” 의 경우도 많이 있어요.

질문자 H : 평소 좋아하는 작가라면 순탄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말씀이신지요.

무라카미 : 일단은 그렇습니다. 단,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가령 시바타(공저자 시바타 모토유키) 선생께서 자주 번역하시는 폴 오스터 말입니다만, 독자로서는 좋아하지만 ‘번역하고 싶은지’ 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그런 관계로, 특히 저는 작가다보니 ‘번역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게 있는가’ 의 여부가 꽤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존 어빙의 장편 하나를 번역했습니다만, 어빙에게서 ‘배우고 싶다’ 느낀 부분이 꽤 컸지요. 카버(레이몬드 카버)도 그렇고 팀 오브라이언도요. 팔십 년대 미국 작가 중 가장 필력이 좋았던 사람을 꼽는다면 오브라이언, 어빙, 카버라고 생각합니다. 그 세 사람에게서 조금이라도 무언가를 배우고 싶다고, 자양분을 흡수하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번역한데엔 그렇게 생각한 바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시바타 : 실제로 번역하신 뒤 “의외로 배울 점이 없구나” 느낀 작가는 있으십니까. (웃음)

무라카미 : 아직까지는 없어요, 그런 사람은요. 무슨 작품이든 분명 배울 부분은 있지요.

시바타 : 처음 읽었을 때 느낀 감상에서 그렇게 벗어나진 않지요?

무라카미 : 그렇지요. “아... 이런 거 안 하는 게 나았어. 시간과 손끝의 낭비였어.” 라 할 일은 없어요.

무라카미 하루키, 시바타 모토유키 <번역야화> 中


'번역 - 일본어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이야말로 최강의 인터페이스이다  (0) 2018.07.04
榊原ゆい - Trust in me  (0) 2016.08.06
奥井雅実 - Love Shield  (0) 2016.08.06
한일 가사 번안 - 그대에게  (0) 2016.01.21
Baby's breathe - 田村ゆかり  (0) 2015.12.09

어느 봄날의 일요일春の日曜の一日

夫天地者 萬物之逆旅 光陰者 百代之過客(부천지자 만물지역려 광음자 백대지과객) 
대저 천지는 만물이 묵어가는 여관이요 세월은 백대의 나그네

而浮生若夢 爲歡 幾何(이부생약몽 위환 기하)
떠도는 인생 꿈과 같으니 기쁨이 얼마나 되나?

古人 秉燭夜游 良有以事 (고인병촉야유 양유이사) 
옛사람들이 촛불을 잡고 밤에 노닌 것도 실로 까닭이 있었음이라

況 陽春召我以煙景 大塊暇我以文章 (황 양춘소아이연경 대괴가아이문장) 
하물며 화창한 봄날이 아름다운 경치로 나를 부르고 조물주가 나에게 문장을 빌려줬음에랴

이백이 지은 문장에 드러난 봄을 읽다보면 이제 나는 저절로 그림을 그리지 않을 수 없다. 거기다 오늘은 일요일이고 날씨도 쾌청하다. 곧장 어제 약속한 하야시의 집을 방문했다. 온몸이 봄의 고동으로 들썩이고, 다리는 호기롭게 대지를 밟는다. 고풍스러움 그 자체인 하야시의 집 에 들어서자, 만면에 기쁜 빛을 띤 채 그는 들고 있던 이젤을 단단히 챙겨 밖으로 뛰쳐나왔다. 키가 다른 두 사람이 똑같은 이젤과 똑같은 목탄지를 손에 든 채 하얀 운동화를 신고 제2중학교 부근을 목적지로 하여 출발했다. 가는 길에 어딘가 학교처럼 보이는 건물이 있어 하야시에게 물어보았더니 “*훈맹원ー아니 보육원이겠지.” 라 대답했다. 과연 얼굴이 새까만 이삼십 명의 아이들이 제각각 한 쪽에선 세발자전거를 타고 다른 쪽에선 그네를 타며 놀고 있었다. 아무리 봐도 얼굴 상태가 원만하지는 않다. 새삼 부모님께 감사함을 느낀 순간이었다.
길 한쪽에 피어오르는 아지랑이를 가로질러 나아가니 나무들 사이로 제2중학교의 교사校舍가 보이기 시작했다. 아무리 사팔눈으로 본들 제2중학교 교사는 기후岐阜중학교 교사보다 훌륭하다. 설비부터 시작해서 모든 게.
제2중학교 교문을 지나면 묘지와 맞닥뜨린다. ‘여기 우리 할머니가 묻혀 있다’ 는 생각을 하고 있자, 갑자기 작년 가을 사카호기坂祝 땅에서 나뭇잎과 함께 쓸쓸히 져 버린 누님의 모습이 눈앞에 아른거렸다. 위독한 와중에도 내게 걱정스럽게 “학교를 쉬면 안 된다” 며 돌아가라고 소리치던 누님의 목소리도 귓가에 맴돌았다. 아련한 생각을 잊으려고 초원에 풀썩 주저앉았다. 멀리 북쪽을 바라보니 낙성식을 눈앞에 둔 제2카노加納소학교가 선명한 주홍 빛깔을 발휘하고 있다. 아지랑이가 피어올라 엷은 세피아 색으로 배경을 수놓고 있다. 그를 원경遠景으로 놓자 중경中景으로는 왼편에 조선인들의 가옥이 있고 옆에는 보리밭의 녹음이 조화를 이룬다. 그 사이를 졸졸 흐르는 시냇물이 발밑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아, 그야말로 충분한 절경이다. 나는 연필을 집으려 했다. 그러나 하야시는 고개를 젓고는, 나와 등진 채 자리를 잡고 연필을 꺼낸다. 갑자기 뒤에서 자전거 벨이 울린다 싶더니 아이들의 무리가 “야, 너희들 여기 있었느냐?” 운운하며 자전거를 몰고 왔다. 의아한 채 가만히 있자니 다가와서는 “이야, 이거 정말 죄송합니다.” 하고는 사라져갔다. 아무리 봐도 연배는 얼마 나지 않음이 틀림없다. 바로 옆까지 와서야 다른 사람인 줄 알았으니까. 조금 있자니 돌아와서는 한 번 더 사과하고 떠났다. 시골 사람들의 공손함을 살짝 느꼈다. 아무리 떨어져 있다 한들 기후에서 0.5리 거리인데 기후 사람들의 정서와는 천양지차다.
혼자서 감상에 빠져 있자니 하야시는 이미 그림에 몰두해 있다. 하야시는 머리가 좋아서 구도를 빨리 선정한다. 나로선 턱도 없다. 한 장에 칠 전짜리 목탄지도 똑같이 이 년 묵은 한 장에 십 전짜리 목탄지보다 상태가 나쁘다. 아무리 색을 덧칠해도 그에 비례해서 종이에 스며들지 않는다. 종국에는 환멸감과 비애가 느껴졌다.
시계를 보니 그리기 시작한지 두 시간 반이 지나 열두 시를 넘겨 있었다. 그림은 대충 완성되었다. 봄날 햇빛은 길고 한가로웠지만 우리들의 공복 사정은 그렇지 않다. 하야시는 늘 “배고픔을 초월하고 나면 아무렇지도 않게 된다” 고 말했는데 실로 그 말은 영험하기 그지없어, 짐을 챙겨 돌아갈 무렵에는 앉아 있을 때의 고통은 느껴지지 않았다. 몸 상태는 다소 나빠졌지만 말이다. 돌아가는 길에 제2중학교에서 운동을 하자고 정한지라, 담장을 넘어가 운동장에 있던 원반을 던지며 주고받았다. 어떻게 해도 손에서 원반이 빠져나가는지라 “이러니까 선수가 따로 있는 거지. 다 잘 던지면 선수도 있을 수 없는 법이니까.” 라 생각하기도 했다. 또 카노에서는 연이 유행인지 내 키보다 큰 것만 둘이서 함께 날렸다.
운동장 근처에 올라와 있기만 했는데 열 시 가까이 되었다.
놀이는 끝났지만 집에 돌아가기가 싫었다. 공복인데다 무거운 짐까지 들고 있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한 시간 후 우리는 다리를 질질 끌며 걸어갔다.
아, 즐거우면서도 서글펐던 봄날 하루여.

*訓盲院, 농아와 맹아들을 가르치기 위한 기관

코지마 노부오, <어느 봄날의 일요일春の日曜の一日>

코지마 노부오 초기작품집小島信夫初期作品集 공원, 졸업식 公園 卒業式 수록


제 1장 캐러화하는 젊은이들 (1)


Image from Amazon


'교실' 공간에서의 캐릭터


2010년 11월 20일자 조간 아사히신문에 '캐릭터, 연기하기 지쳤다キャラ、演じ疲れた' 라는 제목의 기사가 게재되었다. 최근 수년 간 아이들이 '캐릭터' 란 단어를 쓰는 것을 자주 듣긴 했다. 그러나 당사자들이 그렇게 캐릭터를 계속 연기하지 않으면 안되는 세상에 지치기 시작하고 있다는 것이 기사의 요지였다.

다음은 그 기사를 인용한 것이다.


"'저 캐릭터를 바꾸고 싶어요. 이대로는 제가 바보가 될 것 같아요.' 산인 지방[각주:1]의 어느 중학교에 설치된 상담실. 여름이 시작될 무렵 임상심리사 이와미야 케이코 씨에게 교복을 입은 여학생이 방문했다. 그녀는 친구들로부터 딴죽을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비한 느낌의 천연 캐릭터天然キャラの不思議ちゃん[각주:2]' 를 연기해 왔지만 본연의 자신과는 동떨어진 캐릭터를 연기하는 데 지쳐 고등학교에 입학하면 캐릭터를 바꾸고 싶다고 하는 것이다. 그밖에도 '괴롭힘당하는 캐릭터いじられキャラ[각주:3]' 를 연기하여 반에서 자신의 입지[각주:4]를 만든다든지 '독설 캐릭터' 라 불리던 여자아이가 "최근에는 제가 독설을 하길 주변 아이들이 기대해서 힘들어요" 라 고민하는 등의 사연들이 이어졌다. 아니나다를까 그 '롤모델' 의 출처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나오는 연예인들이 주고받는 대사와 행동이었다."


요 몇년 동안 학교 공간에서의 캐릭터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러 입장에서 지적되고 있다. 어느 조사에 따르면 교실에는 학생 수만큼의 캐릭터가 존재하고 각기 미묘하게 차별화되어 '캐릭터가 겹치지 않도록'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괴롭힘당하는 캐릭터' '오타쿠 캐릭터' '천연 캐릭터' 등이 알려져 있다. 어떤 캐릭터로 인식되느냐에 따라 아이가 교실 공간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캐릭터 없이는 더이상 평화롭고 즐거운 학교 생활을 지속할 수 없다. 이것은 호들갑이 아니라 실제 상황이다. 그렇다, 이제는 교실 공간은 '캐릭터 생태계' 라 말할 양상을 드러내기에 이른 것이다. 약육강식의 먹이사슬이 존재하고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기 위한 '서식지 격리[각주:5]' 가 있다. 그렇다면 교실 공간을 지배하는 '적자생존' 의 원리는 어떤 것일까.

교실에서의 캐릭터 성립을 고찰할 때 이해해둘 배경 지식이 두 개 있는데, '스쿨 카스트' 와 '커뮤니케이션 격차' 이다. 스쿨 카스트부터 설명해보자. 교실에는 꼭 여러 개의 그룹이 있다. 이들 그룹 간에는 분명한 상하관계가 있고 극단적인 경우 개개의 학생들이 그룹을 넘어 교류하는 것조차 없을 정도이다.[각주:6] 이러한 학생들 사이의 서열 제도를 가리켜 '스쿨 카스트' 라고 한다. 당연히 유래는 인도의 카스트 제도이다. 초등학생 때는 이러한 '신분차' 는 그렇에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러나 사춘기를 맞는 중학교 이후에는 이러한 계층화가 급속도로 진행된다.

이때 소위 '같은 신분' 인 그룹 안에서 역할로서의 캐릭터가 나누어지는 것이다. 캐릭터 배분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캐릭터는 본인이 스스로 인정하는 성격의 방향과는 미묘하게 다른 경우도 있지만 한번 정해진 캐릭터는 거의 변경되지 않는다. 캐릭터로부터 일탈하거나 하는 행동을 하면 그걸 이유로 무시하거나 열외시키는 등의 따돌림으로 발전할 경우조차 있다. 즉 실질적으로 그들에게 캐릭터란 거의 강제되는 것이다.

스쿨 카스트의 구성은 대개 다음과 같은 식이다. 카스트 상위(1군, 혹은 A랭크)를 점하는 학생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은데, 축구나 야구 등 발군의 운동신경(단 아무 운동이나 해당하는 건 아닌 듯하다)을 갖고 있고, 사교적이고 친구가 많고 모임의 분위기를 지배하며 유머 센스가 있고, 몸매나 옷차림을 포함한 용모가 뛰어나고, 이성 관계가 윤택하고 성 경험도 있다. 따라서 카스트 하위의 학생을 괴롭혀 웃음거리로 만들거나 싫은 일을 강요할 힘이 있다.

카스트 하위(3군, C랭크)는 이와는 정반대로 생각하면 된다. 운동치이거나 문화계[각주:7]이고 외모가 두드러지지 않고 이성 관계도 빈약하고 특히 오타쿠스런 취미가 있을 경우 카스트 최하위 확정이나 마찬가지라고 한다. 참고로 지식이 풍부하다든지 공부를 잘하는 것은 요즘은 인망과는 전혀 관계없는 능력으로 치부되는 듯 하다.[각주:8]

2군 또는 B랭크는 상위층과 하위층의 중간 계급으로 대다수 학생들은 여기 속한다.

이러한 계층은 유동성이 적고 일단 카스트가 결정되어 버리면 적어도 일년 - 즉 반이 또 바뀔 때까지 - 은 안착하게 된다. 모리구치 아키라[각주:9]이러한 카스트 분위를 정하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아이들은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입학했을 때나 반 배정을 받았을 때 각 사람의 의사소통 능력, 운동 능력, 용모 등을 재며 첫 한두달 동안 학급에서 자신의 위치를 탐색합니다. 이때 상위 계급을 차지하는 데 성공한 사람은 일년간 '왕따' 를 당할 위험에서 벗어납니다.  거꾸로 하위 계급밖에 차지할 수 없는 사람은 어쩔 수 없이 고위험군으로서 일년을 보내야 합니다. [각주:10]

여기서 특히 주목할 것이 '커뮤니케이션 편중주의' 이다. 좀 더 모리구치 아키라를 인용하자면 

"스쿨 카스트를 결정하는 최대 요인은 '커뮤니케이션 능력' 이라 생각합니다. (단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의 레벨에 따라 학력이나 싸움 능력도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각주:11]

그렇다. 이제 아이들의 대인 평가는 거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능숙함 여부만으로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은 명백한 이상異常 상태이다. 내가 중학생이던 삼십 년쯤 전의 교실은 요즘 교사라면 틀림없이 ’선택성 함묵증'[각주:12]이나 '광범성 발달장애[각주:13]' 란 진단을 내렸을 게 틀림없을 정도로 말이 없는 학생이 두세 명은 있었다. 확실히 그들은 겉으로 드러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낮았을 지 모른다. 그러나 그들은 말이 없어도 구기 운동을 잘한다든지 그림을 잘 그린다든지 하는 점을 평가받아 다른 학생들이 괄목하고 관심을 가졌다. '옛날이 좋았어' 같은 안이한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학생들 사이의 대인 평가의 기준은 그때가 훨씬 다양했다는 것이다. 지금은 커뮤니케이션 외의 재능은 괄목의 여지가 거의 없다.

한때 아이들의 준거 사회에서 나름대로 의미를 갖던 '공부' '그림' '글솜씨' 같은 재능은 이젠 대인 평가의 축으로는 기능을 상실했다. 심지어는 상황에 따라 그런 재능을 발휘하여 캐릭터에서 일탈했다는 이유로 카스트 분위가 추락하는 사태도 발생할 수 있다.


'자기탐색' 유형自分探し系, 캐릭터의 기원으로 보자면


젊은이들의 커뮤니케이션 양상이 변해간다는 것을 내가 실감한 건 십 년 정도 전에 쓴 어떤 원고가 그 계기였다. 모 잡지의 기획으로 시부야와 하라주쿠에서 표본 조사를 위해 몇 사람의 젊은이들과 인터뷰를 하고, 그들에게서 어떠한 '부족 집단' 적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해 보려 할 때였다.[각주:14]취재 결과는 예상을 뛰어넘었다. 간단히 말해 시부야 유형의 젊은이들은 유난히 친구가 많고 사교성이 높았으며 하라주쿠 유형은 대인관계가 그렇게 넓지는 않으나 자신의 목표를 확실히 가졌다는 것의 차이가 분명히 나타났다. 표본 사례의 수가 각각 세 명씩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것을 현장 조사의 성과라 칭하며 일반화할 생각은 없다. 다만 이 인터뷰 경험은 젊은이들을 고찰할 때의 하나의 구조적인 시점을 형성했다. 말하자면 이런 것이다. 현대의 젊은이들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기준으로 대략 두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지 않을까. '자기탐색' 유형과 '은둔형 외톨이ひきこもり' 유형으로 말이다.

미리 말해두자면 어디까지나 두 유형은 가역적이다. 고정적인 성격의 분류와는 다르다. 동일한 개인이 장소에 따라 '자기탐색' 유형처럼 굴거나 '은둔형 외톨이' 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당장 나부터 명실상부한 '은둔형 외톨이' 유형임을 스스로 인정하지만 어울리는 상대나 상황에 따라 '자기탐색' 유형처럼 굴고 마는 경우도 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 이미지의 안정성은 많은 부분에서 반비례의 관계에 놓여 있다. 이런 경향은 특히 사춘기·청년기에는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나기 쉽다. 예를 들어 은둔형 외톨이 유형의 젊은이는 일반적으로 의사 소통에 소극적이거나 서툰 대신 비교적 안정된 자기 이미지를 갖고 있다. 반면 자기탐색 유형의 젊은이는 높은 사교성을 보유한 대신 자기 이미지가 불안정해지기 쉽다.

따라서 각각 사회 적응 단계에서 좌절하고 낙오되어 갈 때의 방향성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은둔형 외톨이 유형은 글자 그대로 방 안에 틀어박히거나 노숙자가 될 위험이 있다. 이것은 의사 소통의 단절을 한층 철저히 하는 방향이다. 반면 자기탐색 유형은 종교나 주술에 심취하거나 자해 행위로 발전할 염려가 있다. 이쪽은 반대로 의사소통이나 인간관계에 대한 의존이 폭주를 일으켰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릭터란 자기탐색 유형을 위해 있는 말이다. 자기 이미지가 정착되지 않았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별개의 소통 공간에서 그때그때 장소와 상황의 분위기를 따라 캐릭터를 만들어내거나 또는 살짝 조정하는 재능은 자기탐색 유형만의 장점이란 것이다. 즉 '가면을 잘 쓰기 위한 재능' 이란 말이다. 반면 은둔형 외톨이 유형은 고유한 자아 외의 다른 캐릭터를 만든다든지 하는 방면은 참패를 맛볼 수밖에 없다. 왜냐면 그들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패배의식이 짙고, 오히려 자기 이미지가 확립되었기에 장소와 상황에 따라 캐릭터를 갈아끼우는 건 서투르기 때문이다. 물론 앞서 말했듯 말수가 없는 것이 캐릭터성을 갖는 경우도 있긴 있지만 상당히 예외적인 경우이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학교 공간에서 압도적으로 상위를 차지하는 것은 '자기탐색 유형' 의 학생들이다. 과잉적으로 사교성이 높은데다 쉽게 동질 집단을 형성하고 학급의 중심이 되어 지배적인 권력을 휘두른다. 반면 '은둔형 외톨이' 유형은 동질 집단의 응집력이 약하고 각자 고립되기 쉬워서 학급 내에서도 아웃사이더로 겉도는 존재가 되기 쉽다. 결국 스쿨 카스트 내에서 그들의 존재는 무시당하거나 교실 내 담화의 소재로 굴려지는 정도의 가치밖에 없는 것이다.


-----


해당 번역문에 대한 모든 권리는 출판원 ちくま文庫와 저자 斉藤環에게 있습니다.


  1. 역자 주. 山陰地方, 츄고쿠 지방에서 동해에 접한 지역으로 보통 톳토리 현, 시마네 현을 일컫는다 [본문으로]
  2. 역자 주. 천연天然이란 캐릭터 특성 중 하나로 '순진하고 세상의 때가 덜 타 천진난만하고 낙천적인 모습을 보이는 성향' 을 일컫는다. [본문으로]
  3. 역자 주. 따돌림을 당한다는 게 아니다. 서문에서 언급한 만담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일본은 준거 공동체에서도 '기가 세고 딴죽을 거는 역할' 과 '기가 약하고 딴죽을 받아주는 역할' 의 구분이 암묵적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본문으로]
  4. 역자 주. 이바쇼居場所。직역하면 '있을 곳'.근대화 이후 사회경제구조의 개편과 함께 빠르게 개인주의가 스며들며 형성된 일본인의 정서 코드. 단어를 좀더 구체적으로 풀자면 '마음을 놓을 수 있는 곳, 안식할 수 있는 곳' [본문으로]
  5. 역자 주. 원문 : 棲み分け。영어로는 habitat isolation. 생활양식이 유사한 복수의 동물 개체 또는 개체군이 터전을 시간적, 공간적으로 나누어 차지한 채 생존하는 현상. [본문으로]
  6. 도이 타카요시土井隆義 「캐릭터화하는 / 캐릭터화되는 아이들キャラ化する / される子どもたち 」이와나미 북클릿岩波ブックレット에서 발췌 [본문으로]
  7. 역자 주. 일본 공교육 하의 학생들의 방과후 활동部活動은 크게 체육계, 문화계(연극, 서예, 다도 등 정靜적 활동), 귀가부(부활동을 안함)로 나뉜다 [본문으로]
  8. 역자 주. 우리나라에 공부벌레란 말이 있듯 일본에도 공부에만 매달리는 학생을 두고 주로 다른 학생들이 비꼬는 말로 카리벤カリ勉이있다. [본문으로]
  9. 역자 주. 森口 朗(もりぐち あきら、1960年6月1日 - ). 일본의 교육평론가 [본문으로]
  10. 모리구치 아키라 「따돌림의 구조」(신쵸신서新潮新書)에서 발췌 [본문으로]
  11. 모리구치 아키라 「따돌림의 구조」(신쵸신서新潮新書)에서 발췌 [본문으로]
  12. 역자 주. 場面緘黙症, Selective Mutism. 가정 등에서는 문제없이 말하지만 사회적 불안증으로 학교, 유치원 등특정 공간에서 발화를 못하는 증상. [본문으로]
  13.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DD. 사회성, 커뮤니케이션 기능 등의 발달 지체가 특징인 다섯 가지 정신 및 행동장애군의 총칭. [본문으로]
  14. 사이토 타마키 『젊은이의 모든 것若者の全て』,PHPエディターズグループ 수록 [본문으로]

서문


Image from
 
https://www.amazon.co.jp/%E3%82%AD%E3%83%A3%E3%83%A9%E3%82%AF%E3%82%BF%E3%83%BC%E7%B2%BE%E7%A5%9E%E5%88%86%E6%9E%90-%E3%83%9E%E3%83%B3%E3%82%AC%E3%83%BB%E6%96%87%E5%AD%A6%E3%83%BB%E6%97%A5%E6%9C%AC%E4%BA%BA-%E3%81%A1%E3%81%8F%E3%81%BE%E6%96%87%E5%BA%AB-%E6%96%8E%E8%97%A4-%E7%92%B0/dp/4480432264


캐릭터란 무엇인가

 

캐릭터라는 말이 우리 일상에 침투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원래 인격이나 성격이란 의미의 어휘에 불과하던 이 말은 언제부터인가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창작물에 등장하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 되었다. 심지어는 연예인이나 코미디언[각주:1]의 속성으로까지 의미가 확장되어 지금은 일상적인 인간관계에서 사람들끼리 쓰는 표현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도구, 혹성, [각주:2], 국가 등의 개념에 캐릭터를 논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소설가 니시오 이신西尾維新[각주:3]신본격 마법소녀 리스카에서 나가사키 현을 배경으로 설정한 이유로 이미 그 현의 캐릭터가 성립되어 있어서를 들었다.

캐릭터라는 말은 본디 특징’ ‘성질이라는 뜻으로 그리스어 ‘kharakter’에서 유래했다. 오다기리 히로시[각주:4]는 그의 저서 캐릭터란 무엇인가에서 영어권에서는 1749년에 헨리 필딩이 소설 톰 존스를 발표한 이후 character가 지금의 뜻으로 정착되었다고 밝힌다.

또한 일본에서 처음 이 단어를 쓴 것은 1950년대에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수입 계약서의 ‘Fanciful Character’공상적 캐릭터キャラクター로 번역할 때였다고 위키피디아는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미 캐릭터라는 말은 단일적인 어원에 그치지 않고 여러 새로운 요소들이 추가되어 다의적인 개념으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 캐릭터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그에 대한 적절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인 것이다.

이 책에서는 당분간 뚜렷한 정의를 염두에 두지 않고 이 어휘를 사용하려고 한다. ‘캐릭터라는 말에 엄밀한 정의를 내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은 막연하게나마 캐릭터라는 말을 이해하고 있다. 이럴 때는 처음부터 정의를 내리지 말고 다양한 사례들을 검토하며 평가해 가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그러한 시도 후에 생성되는 말의 이미지라는 게 있고, 그것을 파악하고 나서야 캐릭터를 차차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학자 S. I. 하야카와[각주:5]“‘오보에라는 단어의 의미를 전혀 몰라도 해당 어휘가 나오는 문례를 많이 접하다 보면 그것이 악기의 이름이란 사실이나 어떤 모양을 한 개체인지 어떻게든 알 수 있다[각주:6]는 사례를 든다. 동일한 코드를 복수의 문맥으로 반복하여 사용하면 점차 그 의미에 관한 자연스러운 합의가 형성된다. 이러한 현상은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으며 실제로 오타쿠’ ‘히키코모리등의 어휘도 그렇게 정착된 것이다. 그렇게 살아 움직이는 어휘를 붙잡아 적절히 요리하려면 우선 사회라는 바다에서 충분히 헤엄칠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어휘의 정의 같은 건 그때 가서 해도 늦지 않다.

오늘날의 수많은 사상들을 횡단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의 역사적 변이를 파헤치는 방식으로 알려진 중출입증법을 창시한 야나기타 쿠니오[각주:7]처럼, 비록 그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내가 어휘를 정의하는 기본적 발상은 야나기타와 같다. 어휘의 용법을 횡단적으로 분석하여 정의된 바를 통해 역사적 변이까지 사정거리에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국회도서관을 뒤지는 게 아니라 임상의로서 현장을 진단하듯 대상에 접근하게 될 것이다.

방금 전에도 말했듯 캐릭터란 어휘는 여러 문맥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문맥에 따라 의미가 미묘하게 다르다. 어찌됐든 캐릭터 산업부터 서브컬쳐, 소설, 예술 분야에 이르기까지 어느새 캐릭터가 불가결한 요소가 된 것은 사실이다.

그런 반면 캐릭터성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 정통 예술 등의 상위문화highculture 영역도 있다. 그에 대해선 나중에 이야기하기로 하고, 우선은 일상에서 우리가 캐릭터란 어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캐릭터」 라는 용어의 기원


「캐릭터가 성립하다」는 이젠 스스럼없이 통하는 표현으로 정착되었다. 만화원작자 코이케 카즈오[각주:8] 시대부터 뿌리내렸다고 보는 '캐릭터' 라는 용어는 본래 '독자를 매료시키도록 등장 인물에 부여하는 개성을 인상적이고 두드러지게 묘사' 하는 만화적 기법 정도의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 

그것이 1980년대에 코미디언 업계에서 연기자의 평가 기준으로 쓰이게 되고 자연스레 TV라는 매체를 통해 일반화되었다. 신죠 카즈마[각주:9]는 "'보케' 와 츳코미'[각주:10]의 분류는 일반인이 제일 처음 인식한 캐릭터가 아닐까" 란 의견을 제시했다.[각주:11] 확실히 캐릭터라는 말이 일종의 '연극성' 요소를 포함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건 이 무렵부터일지도 모르겠다.

 연극 코미디와 캐릭터 역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前코미디언이자 대학에서 강사로 교편을 잡고 있는 세누마 후미아키[각주:12]의 저서 「캐릭터론」(STUDIO CELLO 출판)에는 다음과 같은 대목이 있다.

그는 요시모토흥업에 입단하여 '캐릭터' 란 단어와 만나게 된 후 자신의 '(개그)캐릭터'를 고민하게 되었다고 한다. "제가 캐릭터를 고민하게 된 계기는 선배 코미디언들, 구성 작가들, 또는 회사 사원들로부터 "캐릭터를 만들어라. 그게 뜰 수 있는 지름길이다." 라고 조언을 들은 것이습니다. 동기들끼리도 "쟤 캐릭터 잘 만드네" "어떤 캐릭터가 수요가 남아 있지?" 같은 대화를 나누며 마치 틈새시장을 노리는 기업가처럼 TV에 나오지 않는 '캐릭터' 를 찾고 있었습니다. 즉 코미디언들에게 캐릭터는 필수 불가결하며 인기를 얻느냐 못 얻느냐를 판가름하는 요소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그렇다, 코미디언 업계에서는 웃길 수 있는 소재 이상으로 코미디언의 캐릭터가 성립되었느냐의 여부가 사활 문제인 것이다.

덧붙여 내가 '캐릭터' 의 정착을 실감한 계기는 2007년 9월에 있던 자민당[각주:13] 총재 선거에서 아소 타로[각주:14]의 발언이었다. 만화 문화에 조예가 깊다고 알려진 아소 후보는 공동기자회견서 당시 대립하던 후쿠다 야스오[각주:15] 후보의 성격을 질문받자 "나는 캐릭터가 매우 잘 확립되어 있으나 후쿠다 씨는 그다지 그렇지 않다" 고 대답했다. 또한 길거리 연설에서도 "캐릭터가 너무 확고해 자민당의 여러 원로들에게 나쁜 평가를 받고 있는 아소 타로입니다" 라 말을 떼었다고 한다(2007년 9월 16일자 조간 동경신문에서 발췌).

사실 내가 보기에 아소의 발언은 그의 착각이다. 넷상의 인기에 한정한다면 후쿠다 야스오는 캐릭터가 확립되지 않은 것도 아니다. 그의 냉소적이고 비꼬길 잘하는 히트맨[각주:16] 캐릭터는 여러 곳에서 인용되고 있었다. 애초에 후쿠다는 아소보다 얼굴 모사模写가 쉽다는 점에서도 유리했다.

어째서 이런 오해가 생긴 것일까. 아마도 아소는 공공연하게 발언하고 행동할 정도로 자기 자신의 캐릭터가 확립되어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그가 좋아하는 '고르고 13[각주:17]'의 주인공 '듀크 토고' 은 수다스러운 캐릭터인가. 이것으로 부족하다면 일본의 국민 영웅급 캐릭터들이 대체로 과묵하다든지 발화發話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 보자. 울트라맨이든 가면라이더든 말이다. 나는 한때 코이즈미 前총리[각주:18]를 '울트라맨 재상' 이라고 부른 적 있다. 그가 인상적인 발언을 여럿 남겼으면서도 늘 뒷받침하는 설명이 부족했기에, 적이든 동료든 누굴 외쳐 부를 줄밖에 모르는 슈퍼 히어로에 빗댄 것이다. 이런 사람들을 두고 '캐릭터가 덜 확립됐다' 고 판단할 근거는 없을 것이다.

그러한 오해와는 별개로 캐릭터는 마침내 우리 일상에 점점 침투하고 있다. 그 사실을 새삼 느끼게 한 것이 최근 매스컴을 장식한 '타이거마스크 운동' 에 관한 일련의 보도들이었다. 보도의 발단은 2010년 12월 25일에 마에바시[각주:19] 시에 나타난 '이토 나오토' 였다. 그가 아동상담소에 기부한 열 개의 란도셀[각주:20]이 시발점이 되어 '운동' 의 동심원이 연쇄반응을 하듯 퍼져 눈 깜짝할 사이 전국 규모의 현상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설명할 것도 없이 '이토 나오토' 는 만화 '타이거 마스크'[각주:21]의 주인공이다. 작중 그는 정체를 숨긴 채 시합에서 이겨 탄 상금을 자신이 자란 고아원에 기부하는 선행을 베푼다. 상기한 기부자의 가명은 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운동은 겨우 보름여 만에 천 건을 넘기며 전국 모든 도도부현[각주:22]으로 확산되었다.

흔히들 일본에서는 자선활동이 계속되는 문화가 정착되기 힘들다고 한다. 그러나 '축제[각주:23]' 로서의 기부는 오히려 선호받는다. 타이거마스크 운동의 경우 '기부 축제'를 벌이기 좋은 연말연시라는 타이밍과 매스컴 보도의 뻥튀기까지 합세한 덕에 이중으로 '축제'가 된 듯도 하다. 이 '축제'의 특이한 점은 당초의 이토 나오토에서 캐릭터 가짓수가 점점 늘어나 다양해졌다는 것이다. 목록을 열거하자면 호시 휴우마[각주:24], 호빵맨, 디즈니 캐릭터, 지브리 캐릭터, 스즈미야 하루히, 하츠네 미쿠 등 구세대부터 신세대까지 여러 캐릭터들의 이름이 축제에 등장하였다.

이것은 이미 '익명의 선의' 가 아니다. 오히려 '캐릭터의 선의' 라 보아야 하지 않을까. 이 '축제'를 성황리에 연쇄적인 현상으로 이끈 최대 요소는 마치 '코스튬 플레이[각주:25]' 처럼 '자선 캐릭터'가 되고 싶다는 사람들의 욕망이 아니었을까. 실명 기부는 (세간의 눈을 신경쓰거나 묻지마 범죄에 휘말리는 등)위험 부담이 크다. 익명 기부는 결과를 알 수 없어서 보람이 적다. 캐릭터로서의 기부는 딱 양자의 절충점으로서 실로 적절한 아이디어였던 것이다. 캐릭터는 꼭 익명이라 할 수는 없다. 거기다가 적어도 미디어나 사람들 사이에서 "저건 나다" 라 할 동일성을 보장한다.

이 운동은 일본인에게 캐릭터가 되려하는 행동 양식이 얼마나 스며들어있는지 재차 내게 인식시켰다. 작은 선의의 표현 형식으로서 이번 '캐릭터 축제' 는 일본인이었기에 할 수 있는 훌륭한 '발명' 이었던 것이다. 설령 일회성 이벤트로 끝났다고 해도 그 가치는 자랑할 만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러한 운동의 출현은 캐릭터가 더이상 새로운 개념 같은 게 아니라 일상적 개념으로서 응용하는 단계까지 이르렀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일상에 침투한 단어는 빈번히 의미나 용도가 확산되기 때문에 정의를 내리거나 본질을 파악하기 곤란해지기 쉽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상황에 입각하여 캐릭터의 본질에 대해 사례를 바탕으로 원리적인 고찰을 새로이 할 생각이다.


---------------------


해당 번역문에 대한 모든 권리는 출판원 ちくま文庫와 저자 斉藤環에게 있습니다.

  1. 역자 주. 일본의 방송계는 크게 통상적인 예능 활동을 전담하는 연예인芸能人(げいのうじん)계와 코미디 위주로 활동하는 코미디언お笑(わら)い芸人(げいにん)계로 분류한다 [본문으로]
  2. 역자 주. 일본의 행정구역은 크게 북해도, 도쿄도, 교토부, 오사카부 및 43개 현으로 나누어 도도부현都道府県(とどうふけん)이라 한다 [본문으로]
  3. 일본의 소설가. 1981년생. 대표작으로 ‘이야기 시리즈’ 가 있다 [본문으로]
  4. 역자 주. 일본의 번역가 겸 프리랜서 기고가 [본문으로]
  5. 역자 주. Samuel Ichiye "S. I." Hayakawa (July 18, 1906 – February 27, 1992). 캐나다 출생 학자 겸 정치인 [본문으로]
  6. Samuel Ichiye "S. I." Hayakawa, 『사고와 행동에 대한 언어思考と行動における言語』에서 발췌 [본문으로]
  7. 역자 주. 柳田 國男(1875 ~ 1962). 일본 민속학자 겸 저술가 [본문으로]
  8. 역자 주. 小池 一夫 (1936年5月8日 - )일본의 만화 각본가. 대표작으로 [장군 암살자] [아들을 동반한 검객] [고르고13] 등이 있다 [본문으로]
  9. 역자 주. 新城カズマ. 일본의 가공언어설계가 겸 SF소설 및 라이트노밸 작가 [본문으로]
  10. 역자 주. 일본의 전통적인 코미디 양식인 만담漫才에서 웃기는 말이나 얼빠진 행동을 하는 역할을 '보케ボケ라 하고 그에 대해 딴죽을 걸며 관객의 웃음을 유도하는 역할을 '츳코미ツッコミ' 라 한다 [본문으로]
  11. 신죠 카즈마, '라이트노벨「초」인간'에서 발췌 [본문으로]
  12. 역자 주. 瀬沼文彰(1978~), 前일본 요시모토흥업 소속 코미디언, 現커뮤니케이션학 강사. 저서로는 [캐릭터론][코미디의 교과서] 등이 있다. [본문으로]
  13. 역자 주. 자유민주당(自由民主黨). 1955년에 자유당과 일본 민주당이 합쳐져 창당된 일본의 보수주의 정당으로, 1993년부터 1996년까지의 기간을 제외하고, 2009년까지 총리를 배출하였다. 2017년 현재 총재는 아베 신조, 간사장은 니카이 도시히로이다. [본문으로]
  14. 麻生太郎 (1940년 9월 20일 ~ ). 일본의 정치가로, 일본의 제92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본문으로]
  15. 역자 주. 福田康夫, 1936년 7월 16일 ~ . 일본의 자유민주당(자민당) 소속 정치인으로 일본의 91대 내각총리대신이었다. [본문으로]
  16. 역자 주. 청부살인업자를 가리키는 은어에서 비롯되어, '(주로 뒤에서 더러운 일을 도맡아 하는)행동대장' 으로 쓰인다 [본문으로]
  17. 역자 주. 1968년 11월 쇼가쿠칸의 만화잡지 ビッグコミック(빅코믹)에서 연재를 시작하여 2016년 현재까지도 연재중인 사이토 타카오와 사이토 프로덕션의 성인 극화. 주인공인 저격수 듀크 토고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본문으로]
  18. 역자 주. 小泉純一郎(1942년 1월 8일 ~ ). 일본의 제87·88·89대 내각총리대신. [본문으로]
  19. 역자 주. 前橋。일본 간토 지방의 북쪽, 군마 현 중앙부에 있는 현청 소재지 [본문으로]
  20. 역자 주. 일본의 수제 책가방으로 최소 만엔대에서 십만엔대까지 고가로 유명하다.(2017년 9월 기준 한국 환율로 약 1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 [본문으로]
  21. 역자 주. 거인의 별, 내일의 죠 등으로 유명한 카지와라 잇키의 프로레슬링을 주제로 한 만화.1971년과 72년에 걸쳐 애니메이션으로 방영. [본문으로]
  22. 각주 2 참조 [본문으로]
  23. 역자 주. 일본인에게 축제(마츠리祭り)라는 단어는 지자체나 단체의 단순한 행사를 넘어 일상 생활에까지 침투할 정도로 깊은 연관이 있다.특히 인터넷 문화 정착 이후 원래 의미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급격하게 관심이 증폭하는 화제에 사람들이 몰려드는 현상의 의미도 추가되었다. [본문으로]
  24. 역자 주. 만화 '거인의 별' 주인공 [본문으로]
  25. 역자 주. 특정 캐릭터와 복장과 장신구를 착용하여 외관을 모방하는, 일본 서브컬쳐 팬덤에서 시작된 놀이 문화. [본문으로]
번역 - 일본어/기타 2016. 8. 6. 18:41

榊原ゆい - Trust in me

 

번역 - 일본어/기타 2016. 8. 6. 18:30

奥井雅実 - Love Shield

 

번역 - 일본어/기타 2016. 1. 21. 09:01

한일 가사 번안 - 그대에게